관광지 사진, 소개, 위치 및 관광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해설사 예약하기를 통해 해설 예약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소개
○ 소재지 : 화순군 도암면 천태로 91-44 (구주소 : 전남 화순군 도암면)
○ 전화번호 : (061)374-0660
◈ 운주사는 화순읍에서 서남쪽으로 약 26㎞ 지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천태산을 중심으로 동쪽에는 개천사, 서쪽에는 운주사가 자리하고 있다.
운주사의 창건과 천불천탑의 건립은 통일신라말 도선국사에 의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도선국사가 풍수지리설에 의거 이곳 지형이 배형으로 되어 있어 배의 돛대와 사공을 상징하는 천불과 천탑을 세웠다하여 흔히 천불천탑이라 불리운다.
그러나 문헌상으로 전해진 사료에는 아직까지 이 점에 관한 기록이 거의 없고 신증동국여지승람 능성현조에 〔雲住寺在千佛千塔之左右山背石佛塔名一千又有石室二石佛像相異座〕이란 기록이 보이고 있어 현존 석불석탑의 유래를 짐작할 수가 있다.
사찰경내의 많은 석불과 석탑은 그 조각수법이 투박하고 정교하게 만들어진 것은 아니다. 조성연대는 고려중기인 12세기 정도로 평가되며 일시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오랜 기간을 두고 계속되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사적 제312호로 지정된 이곳은 1984년 이후 4차례 발굴과 석조불감해체복원, 원형다층석탑보수, 일주문신축, 보제각신축을 했으며 97년에는 와불진입로를 정비하였다.
현재 사찰경내에는 석탑 21기, 석불 93구가 보존되어 있다.
◆ 9층석탑 : 운주사는 풍수지리상 배형국이라 하고 9층석탑은 돛대 역할을 한다고 전한다. 운주사에서 가장 높은 석탑이며 석탑 옆면의 꽃문양이 이색적이다. (보물 제796호)
◆ 원형다층석탑 : 원형다층석탑은 바닥에서 탑 꼭대기까지 둥근모습을 하고 있으며 현재는 6층이나 그 위로 몇층이 더 있었는지가 궁금하다. 연화탑, 떡탑 등의 별칭이 있다. (보물 제798호)
◆ 운주사 석조불감 : 원형다층석탑 남쪽 5m 지점에 위치한 이 불감은 팔작 지붕 형태로 그 안에 석불좌상 이체(二體)가 벽을 사이에 두고 서로 등을 대고 있다. (보물 제 797호)
◆ 와불 : 도선국사가 하루낮 하룻밤 사이에 천불천탑을 세워 새로운 세상을 열어 보고자 했으나 공사가 끝나갈 무렵 일하기 싫어한 동자승이 "꼬끼오"하고 닭소리를 내는 바람에 석수장이들이 모두 날이 샌줄 알고 하늘로 가버려 결국 와불로 남게 되었다고 한다. 와불이 일어나는 날 이곳이 서울이 된다고 전해온다
○ 찾아 오는 길
◈ 자가용 이용시
1. 광주에서 너릿재터널을 지나 화순읍까지(국도22·29호선) 온 후 화순중앙병원 사거리에서 우회전하여 국도 제29호선을 따라 능주까지 간 다음 우회전하여 지방도 822호선을 따라 도곡 효산리를 거쳐 평리사거리에서 좌회전한 후 지방도 817호선을 따라 클럽 900입구, 도장마을, 도암면소재지에 이르고 도암 삼거리에서 곧장 가면 월전마을, 용강저수지를 지나 우회전하면 운주사 주차장이 있습니다. 주차장에서 걸어서 5분이면 천불천탑이 있습니다.
2. 광주대학교에서 칠구재터널을 지나 전남학숙과 도곡온천을 경유하여 평리사거리로 찾아오시면 됩니다.
⇒ 광주 -(12km)- 화순 -(10km)- 능주-(5.1km)- 평리사거리 -(2.4km)- 클럽900 -(2.8km)- 도장리 -(8km)- 도암삼거리 -(3km)- 운주사
⇒ 광주대학교 -(11km)- 도곡온천 -(4.4km)- 평리사거리 -(2.4km)- 클럽900 -(2.8km)- 도장리 -(8km)- 도암삼거리 -(3km)- 운주사
○ 추가정보
* 입장료, 주차료 없음.
* 운주사 관리사무소 : (061)374-0548
* 운주사 : (061)374-0660
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