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닫기

관광지정보

관광지 사진, 소개, 위치 및 관광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해설사 예약하기를 통해 해설 예약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조문국사적지(금성면 고분군, 빙계계곡, 탑리오층석탑, 제오리 공룡발자국 화석, 산운마을, 산운생태공원)

역사관광 > 역사유적지

소개

  • * 조문국의 무덤군으로 여겨지는 곳, 의성 금성산 고분군 *

    금성산 고분군은 대리리, 탑리리, 학미리 일원에 소재하며 200여기에 이르는데 출토된 유물은 5~6세기 것으로 추정된다. 지름 15~19m, 높이 3~4m의 대형분과 지름 10~15m, 높이 2~4m의 중형분, 지름 10m 미만의 소형분이 고루 밀집되었으며, 원형봉토분이 대부분이다.

    1960년에 국립중앙박물관, 1965년 경희대학교 박물관이 발굴·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성토의 모양은 봉구를 중심으로 수평단축 상태로 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봉구를 조성하는 데 사용된 흙은 순수한 점토로서 그 양 또한 매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용된 흙의 대부분이 이 지역에서 나는 흙과 색깔이 달라 다른 지역에서 운반해왔을 것으로 짐작된다. 이것으로 이 고분을 만들기 위해서는 막대한 노동력이 동원되었을 것으로 여겨지며, 이 고분군은 정치적으로 영향력이 큰 통치자에 의해 조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

    * 금성산 고분군과 삼한 조문국 *

    금성산 고분군은 삼한 시대에 부족국가인 조문국의 것으로 여겨진다. 조문국은 삼한시대의 부족국가였던 나라로 현재의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일대를 도읍지로 하여 존속하다가 185년(신라 벌휴왕 2년)에 신라에 병합되었다고 전한다. 하지만 조문국이 실재했었다는 기록은 <삼국사기>에 짧게 언급되어 있을 뿐 문헌자료는 거의 남아 있지 않다.

    금성산 고분군은 조문국의 도읍지로 여겨지는 곳으로 의성 지역 지방 세력과 사회구조 및 의성 지역과 신라와의 관계 파악에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문화재 정보]

    지정종목 : 시도기념물  

    지정번호 : 경북기념물 제128호  

    지정연도 : 1998년 4월 13일  

    시대 : 삼국시대  

    종류 : 고분군  

    크기 : 면적 296,825㎡, 지름 10∼19m, 높이 2∼4m 

  • * 빙계계곡*

          삼복에 얼음이 얼고 엄동설한에 더운 김이 무럭무럭 오르는 신비의 계곡인 빙계계곡은 예로부터 명승지로 알려졌으며, 빙혈과 풍혈이 있어 산을 빙산이라 하고 그 산을 돌아흐르는 내를 빙계라 하며 동네를 빙계리라 부르고 있다.

  • * 탑리리오층석탑*

          높이 9.6m의 세부 석재가 거의 온전한 편으로, 전탑의 축조 방법을 따르면서 목조 건물의 양식을 일부에 반영하였다. 우리나라 석탑의 양식 발달을 살피는데 귀중한 사례로 손꼽힌다.

  • * 산운마을*

          조선 선조 때 강원도 관찰사를 지낸 학동 이광준이 이 곳에 정착하여 마을을 이루었으며, 이후 광해군 때 승지를 지낸 경정 이민성, 헌종 때 형조판서인 운곡 이희발 등이 태어났다. 산운 마을은 수정 계곡 아래 구름이 감도는 것이 보여 산운이라 하였다고 한다. 금성면 산운1리에 자리한
          산운 마을은 일명 '대감 마을'로 불리며 400년 이상을 이어온 영천 이씨의 집성촌이다.

  • * 산운생태공원*

          2001년부터 2006년에 걸쳐 폐교된 산운초등학교 부지 위에 자연학습장 및 친환경 공간으로 건립되었다. 의성의 명산인 금성산과 신라시대 의상조사가 창건한 수정사로 가는 길목이기도 하다.

  • * 천연기념물 제373호, 제오리공룡발자국화석*

          1987년 관내 지방도로 확장공사 때 발견되었다. 공룡발자국은 중생대 백악기 애프트절~앨브절 사이의 약 1억1500만 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며 경사계 하양층군 사곡층의 암회색과 암회색셰일 경사면에 형성되어 있다.

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