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지 사진, 소개, 위치 및 관광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해설사 예약하기를 통해 해설 예약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소개
경포대는 원래 고려 충숙왕 13년(1326) 강원도의 한 관리였던 박숙정이 신라 4선(四仙)이 놀던 인월사 옛터(현재의 방해정 뒷산)에 세웠는데, 조선 중종 3년(1508) 강릉 부사 한급이 현위치로 옮겨 지은 뒤 여러 차례의 중수 끝에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대개 맞배지붕에는 연등천장, 팔작지붕에는 우물천장을 하게 마련인데, 팔작지붕이면서도 연등천장을 하고 있는 점이 눈에 띄며, 주춧돌도 자연석을 그대로 놓은 뒤 기둥에 닿는 부위만 둥글게 다듬어 놓았다.
이중환이 『택리지』에서 “작은 산기슭 하나가 동쪽을 향해 우뚝한데 축대는 그 산 위에 있다. 앞에 있는 호수는 20리이며 물 깊이는 사람의 배꼽에 닿을 정도여서 작은 배는 다닐 수 있다. 동쪽에 강문교가 있고 다리 너머에는 흰 모래 둑이 겹겹으로 막혀 있다. 호수는 바다와 통했고 둑 너머에는 푸른 바다가 하늘에 면한 듯하다” 하였듯이, 예전의 경포대는 찻길로 인해 경포호와는 뚝 끊겨버린 현재의 모습은 아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그처럼 아름답고 고요했을 경포대 주변은 근래에 들어와 충혼탑, 신사임당 동상, 송강 정철 시비 등의 기념물이 조성되면서 관광공원처럼 꾸며져 고요한 멋이 사라지고 말았다.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6호로 지정돼 있다.
동해안 해수욕장의 대명사처럼 여겨지는 경포해수욕장을 찾는 이는 매년 수십만 명에 이르지만 정작 ‘경포대’를 찾는 이는 그리 많지 않다. 대개 호수를 바라보며 차로 달려 잠깐 사이에 해수욕장에 닿기 때문인데, 호숫가 동북쪽 찻길 건너편 언덕 위에 있는 경포대는 아름드리 소나무와 벚나무 숲에 가려 있어 그냥 지나치기 쉽다. 실은 푸른 동해 바다를 조금이라도 빨리 보고 싶은 조바심 때문에 놓치는 이유가 더 크다. 하나 강릉 경포대에 와서 정작 ‘경포대’를 보지 못한다면 알맹이는 놓치고 겉만 훑고 가는 큰 아쉬움이 남게 될 것이다.
* 문화관광해설 상시운영프로그램 통합예약입니다.
* 외국어 해설 요청시 담당자(☎033-640-5538)에게 연락해주세요.
위치